티스토리 뷰
세금 없이 증여받을 수 있는 금액은 얼마일까?
1. 세금 없이 증여받을 수 있는 금액은 얼마일까?
2024년 증여세법 개정으로 달라진 증여 한도, 꼭 알아두세요!
최근 부모님이 자녀에게 집 마련 자금이나 결혼 자금을 지원하고 싶어 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때 가장 자주 받는 질문 중 하나는 바로 이것입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세금 없이 재산을 줄 수 있는 한도는 얼마인가요?”
그동안은 많은 분들이 증여세를 줄이기 위해 10년 단위 증여 계획을 세우곤 했죠.
그런데 2024년부터 증여세법이 개정되면서, 자녀가 결혼하거나 자녀를 출산할 경우,
세금 없이 증여받을 수 있는 한도가 크게 늘어났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 기본 비과세 한도,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기존에는 다음과 같은 기본 공제 한도가 적용됐습니다.
- 성인 자녀: 10년 동안 5천만 원까지 비과세
- 미성년 자녀: 10년 동안 2천만 원까지 비과세
하지만 2024년부터는 혼인과 출산을 기준으로 추가 공제가 가능해졌습니다.
혼인 전후 2년 이내 또는
출생일 전후 2년 이내에 자녀에게 재산을 이전하면,
기존 5천만 원 + 추가 1억 원 = 총 1억 5천만 원까지 비과세!
이 혜택은 부모 각각에게 적용되므로, 양가 부모가 각자 증여할 경우 최대 3억 원까지 증여세 없이 자녀에게 이전할 수 있습니다.
3. 실제 상담 사례로 보는 절세 전략
사례 ① “결혼 자금, 세금 없이 3억 원 가능할까요?”
2023년 말, 한 고객(K 씨)이 사무실을 찾았습니다.
K 씨는 2024년 결혼 예정인 자녀에게 집을 마련해주고 싶다는 계획이 있었죠.
자녀는 3억 원이 부족했고, K 씨는 이렇게 질문했습니다.
“양가 부모가 각각 1억 5천만 원씩 자녀에게 증여하면 세금 없이 가능할까요?”
답은 ‘YES’입니다!
2024년 이후 혼인 시 적용되는 추가 공제를 활용하면, 각 부모가 1억 5천만 원씩 증여하여 총 3억 원까지 증여세 없이 증여할 수 있습니다.
K 씨처럼 세법 개정 전부터 계획을 세워둔 분들이라면, 이번 제도는 절세 기회입니다.
사례 ② “예전에 증여한 사실, 기억 안 나요!”
하지만 주의할 점도 있습니다.
증여세법에서는 10년 이내에 증여받은 금액을 합산해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이전에 증여받은 적이 있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고객 B 씨는 자녀에게 증여를 계획했지만, 상담 중 9년 전 증여한 사실을 뒤늦게 기억해냈고, 결국 1년을 더 기다려 증여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이처럼 증여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10년 단위로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례 ③ “할머니에게 받은 것도 포함되나요?”
P 씨는 부모로부터 7천만 원 상당의 토지를 증여받고, 5천만 원 공제를 적용한 뒤 세금을 계산해 신고했습니다.
그러나 몇 달 뒤, 세무서로부터 추가 세금 고지서를 받았습니다.
그 이유는?
? 7년 전 할머니로부터 증여받은 사실을 깜빡했기 때문!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등)에게 받은 증여는 모두 10년 이내에 합산해야 하므로, P 씨는 추가 세금을 납부해야 했습니다.
4. 증여 전 꼭 체크할 것!
- 10년 이내 부모·조부모에게 증여받은 내역 확인
- 혼인 또는 출산일 기준 2년 이내 증여 시 추가 공제 적용 가능
- 양가 부모 각각 1억 5천만 원씩, 최대 3억 원까지 비과세 가능
- 증여세는 세무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철저히 준비할 것
5. 마무리하며
증여는 단순히 재산을 물려주는 일이 아닙니다.
세금과 법적 기준을 잘 이해하고 준비하면,
자녀에게 부담 없이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현명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2024년 증여세 개정 혜택을 잘 활용해,
자녀의 결혼, 출산, 주택 마련에 의미 있는 지원을 계획해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전문가와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놓치지 마세요, 합법적 절세의 기회는 타이밍입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들의 웃음이 피어난 날, 청양 어린이날 큰잔치 이야기 (0) | 2025.07.02 |
---|---|
"단오란 무엇일까? 설날·추석과 비교해 알아보는 전통 명절 이야기" (0) | 2025.07.02 |
보험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0) | 2025.07.01 |
건강한 우정을 위한 작은 습관들 (0) | 2025.07.01 |
한덕수 쇼는 끝났다, 정신 못 차리는 국민의힘은 대선 필패한다 (0) | 2025.07.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나훔
- 안식일교인
- 좋은이름
- 재림교회
- 이스라엘의멸망
- #노무현 #봉하마을 #김장하
- 헌금
- 발람
- 개명
- 정산교회
- 하나님의뜻
- #계좌이체 #상속세
- #현충일 #태국기
- #문형배 #김장하 #남성당한약방 #진정한어른
- 안식일교회
- 설교ppt
- 기도습관
- ##일중독 #쉼이필요해요 #일과삶의균형 #워라밸 #마음건강 #가족의소중함 #자존감회복 #오늘도수고했어요
- 요나
- 부활절
- 신앙생활
- 감사
- #대통령선거 #이재명 #김누수
- 미가서
- 미가
- #김장하 #남성당한약방 #진정한어른 #문형배판사
- 신앙인의자세
- 감사#100번감사#진정한감사#하나님께감사
- 니느웨
- 하나님의사랑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