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와신상담, 땔감 위에 누워 쓸개를 핥다 – 시련 속에 피어난 회복의 이야기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살다 보면 어떤 시련은 너무 쓰라려서, 그냥 잊어버리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런데 역사를 들여다보면, 고통을 잊지 않기 위해 애쓴 사람들도 있습니다. 아니, 오히려 그 쓰라린 기억을 안고 살아간 이들이 있었습니다.
오늘 소개할 이야기는 고대 중국의 오나라와 월나라의 역사에서 유래한 사자성어 "와신상담(臥薪嘗膽)",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우리 삶에 대한 교훈입니다.
오나라 vs 월나라, 대를 이은 원수의 전쟁
춘추전국시대, 오나라 왕 합려는 월나라 왕 구천과의 전쟁에서 패합니다. 치욕적인 패배로 인해 합려는 죽음을 맞이하게 되고, 임종 직전 아들 부차에게 유언을 남깁니다.
“구천을 반드시 처단해 아버지의 원수를 갚아다오.”
아버지의 마지막 말을 가슴에 새긴 부차는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고, 아침마다 신하가 소리치게 합니다.
“부차야, 너는 구천이 아버지를 죽인 것을 잊었느냐!”
그는 왕이라는 지위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채찍질하며, 복수를 위한 날들을 견디고 기다립니다.
3년 후, 그는 월나라와 다시 전쟁을 벌이고 마침내 구천에게 복수에 성공합니다.
그러나… 복수는 끝이 아니었다
승자는 오래 가지 못했습니다.
이번엔 월나라의 구천이 굴욕적인 패배 후 살아남아 조용히 칼을 갈았습니다.
오나라에서 치욕적인 노역을 겪고 돌아온 구천은 매일 짐승의 쓸개를 핥으며 마음속 원한을 되새겼습니다.
그는 무너진 자존심, 땅을 치며 울던 그날의 분노를 잊지 않기 위해, 그렇게 '쓸개 맛'을 기억 속에 새긴 것이죠.
그리고 수년 후, 구천은 완벽한 반격을 준비해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결국 중국 전역을 통일합니다.
이 이야기는 바로 오늘날 우리가 자주 쓰는 사자성어
‘와신상담(臥薪嘗膽)’,
즉 “땔감 위에 눕고, 쓸개를 맛보다”의 유래입니다.
우리 삶의 ‘와신상담’
와신상담은 단순히 고통을 참고 견디는 것 그 이상입니다.
쓰라린 기억을 지워버리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고통을 붙들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스스로를 단련하는 자세입니다.
우리 인생도 그렇습니다.
시련과 고통은 불쑥 찾아옵니다.
예고 없이 찾아온 질병,
뜻하지 않게 무너진 사업,
깊은 상실과 이별…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삶의 굴곡 앞에서 우리는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요?
실패는 끝이 아닌 디딤돌
지나간 1년, 2022년을 돌아보면 누구에게나 기억하고 싶은 순간과 지워버리고 싶은 시간이 있었을 겁니다.
때로는 의미 없어 보이는 시련이 우리를 더 깊고 단단하게 만드는 재료가 됩니다.
고통은 우리를 무너뜨릴 수 있지만, 동시에 성장하게 만드는 힘이 되기도 합니다.
성경 속 이스라엘 백성들도 애굽에서의 고난을 기억하며 쓴 나물을 먹고 스스로를 낮췄습니다.
그들의 고통은 단순한 과거가 아니라, 회개와 새 출발의 출발점이었습니다.
“일곱째 달 열흘 날은 속죄일이니… 이날에 스스로 괴롭게 하지 아니하는 자는 그 백성 중에서 끊어질 것이라”
(레위기 23:27~29)
고통을 디딤돌로 삼자
우리는 굳이 장작 위에 누워 잘 필요도, 쓸개를 핥을 필요도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 마음의 장작더미, 영혼의 쓴맛을 마주하며 한 해를 돌아보는 시간은 꼭 필요합니다.
- 내가 올해 겪은 가장 큰 시련은 무엇이었는가?
- 나는 그 고통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가?
- 나는 지금, 다시 일어설 준비가 되었는가?
이제 곧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됩니다.
묵은해를 고통과 회한으로 보내기보다, 깨달음과 다짐으로 마무리해보세요.
그리고 희망의 새해를, 새롭게 출발해보세요.
와신상담은 역사 속 이야기지만,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교훈입니다.
“실패는 내가 누구인지 결정짓지 않지만, 실패에 어떻게 반응하느냐는 내 미래를 결정짓는다.”
지나온 시간의 쓴맛을 통해,
다가오는 시간엔 더 깊고 넓은 사람이 되어보는 건 어떨까요?
당신은 올해 어떤 ‘쓸개’를 맛보았나요?
이제 그 경험을 토대로, 어디까지 성장할 준비가 되었나요?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은, 가을할 때입니다. (0) | 2025.09.08 |
---|---|
뜻하지 않은 회복, 하나님이 주신 축복 (0) | 2025.09.07 |
시기와 배신 속에서도 마음의 평화를 지킬 수 있을까? (0) | 2025.09.05 |
YOLO의 사회문화적 의미 – 자세하고 쉽게 설명 (0) | 2025.09.05 |
쉰다는 것의 의미 (0) | 2025.09.04 |
- Total
- Today
- Yesterday
- 미가서
- 충남대
- 설교ppt
- 나훔
- 기도습관
- #김장하 #남성당한약방 #진정한어른 #문형배판사
- 절세
- 미가
- 감사
- 재림교회
- 안식일
- 하나님의사랑
- 좋은이름
- 이스라엘의멸망
- 죽음
- 교육부장관
- 니느웨
- 정산교회
- 발람
- 신앙인의자세
- 안식일교인
- #문형배 #김장하 #남성당한약방 #진정한어른
- 하나님의뜻
- 개명
- 신앙생활
- 안식일교회
- 이진숙
- 헌금
- 육각형인간
- 감사#100번감사#진정한감사#하나님께감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