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언어폭력, 말의 힘과 책임~“그만해”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 그리고 말의 무게를 아는 사회를 위해
A. 폭력은 주먹만이 아니다
“폭력”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우리는 흔히 신체적 폭력만을 떠올립니다.
그러나 눈에 보이지 않지만 훨씬 더 깊은 상처를 남기는 폭력이 있습니다.
바로 언어폭력입니다.
말은 때로 칼보다 날카롭고,
그 상처는 보이지 않아 더 오래 남습니다.
누군가의 한 마디는
누군가의 자존감을 무너뜨리고, 삶의 의미를 잃게 할 수도 있습니다.
B. 언어폭력은 이렇게 나타납니다
1. 욕설과 모욕
성격이나 외모, 성장 배경 등을 비하하며
수치심을 유발하는 말들:
“너는 원래 안 돼”, “진짜 한심하다”, “그 얼굴로 뭘 하겠니?”
2. 고함
높은 목소리로 위협하며 상대를 위축시키고
지배하려는 의도가 담긴 말하기 방식입니다.
3. 가스라이팅
피해자가 자신의 감각과 판단을 의심하게 만들며
심리적으로 지배하는 교묘한 언어 조종입니다.
4. 위협과 협박
“가만두지 않겠어”, “네 가족까지 책임질 거야” 같은
두려움을 유도하는 말들은 관계를 병들게 합니다.
5. 무시(무대응)
일부러 말을 하지 않거나,
상대를 없는 사람 취급하는 침묵의 공격도 언어폭력입니다.
6. 비난과 조롱
외모, 성격, 습관 등 개인적 특징을 놀림거리로 삼는 말들도
피해자에겐 큰 상처가 됩니다.
7. 유언비어
사실이 아닌 정보를 퍼뜨려
상대에게 정신적 피해를 입히는 것도 언어폭력입니다.
C. 언어폭력은 마음과 몸을 모두 해칩니다
언어폭력은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지만
심리적으로는 깊은 상처를 남깁니다.
- 자존감 하락, 자기 혐오
- 우울감, 무기력, 불안
- 사회적 고립과 의욕 저하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 심하면 두통, 소화 장애, 심혈관 문제 등 신체 증상으로도 이어집니다.
“말로 때리는 폭력은, 몸으로 맞는 고통보다 더 오래간다.”
D. 언어폭력, 이렇게 대응하세요
1. ‘그만해’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
모욕적인 언행을 들었을 때는
단호하고 분명하게 거부 의사를 표현해야 합니다.
“지금 그 말은 불쾌해요.”
“그만하세요.”
“저를 존중해 주세요.”
이 짧은 말이 스스로를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2. 내 가치는 말로 훼손되지 않는다
누군가의 말이 나를 상처 입혔을지라도,
그 말이 나의 존재 가치를 바꾸는 것은 아닙니다.
당신은 말 그대로
존재 자체로 사랑받을 가치가 있는 사람입니다.
3. 지속되는 위협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계속해서 불안한 관계 속에 있다면
상담사, 심리 전문가, 관련 기관을 통해
자신을 보호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E. 우리가 함께 만들어야 할 사회
언어폭력은 가정, 학교, 직장 등
우리 일상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더더욱,
예방 교육과 공감의 대화 문화가 필요합니다.
- 정중한 말하기와 감정 조절법을 배워야 하고
- 자녀에게도 존중하는 언어 사용을 가르쳐야 하며
- 학교나 직장에서는 의사소통 훈련과 캠페인이 있어야 합니다.
말의 힘을 아는 사람들이 늘어날 때,
우리 사회는 더 안전하고 건강한 관계로 채워질 수 있습니다.
F. 말에도 책임이 따릅니다
말은 사람을 살릴 수도, 죽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매일 말이라는 도구를 사용하면서
그 무게를 잊고 살 때가 많습니다.
오늘 내가 누군가에게 건넨 말 한 마디,
그것이 칼이 아니라 꽃이길 기도합니다.
“그만해”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
그리고 “미안해”라고 말할 줄 아는 성숙함.
그것이 언어폭력을 멈추는 시작입니다.
함께 생각해 볼 질문:
“오늘 내가 누군가에게 했던 말 중, 다시 되돌리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요?”
댓글로 당신의 생각을 나눠 주세요.
이 글이 누군가에겐 회복의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근도 안 하고 월급만? ‘어공’ 논란의 진실과 의미 (0) | 2025.07.22 |
---|---|
부담부 증여, 정말 절세가 될까요?― 잘못하면 수억 원 세금 폭탄! 다가구 주택 증여 시 꼭 알아야 할 세금 이야기 (0) | 2025.07.22 |
트럼프, 이스라엘 그리고 이란 공격 – 중동을 뒤흔든 결정의 파장 (0) | 2025.07.21 |
“가족인데 왜 말이 안 통할까요?” ― 부부와 자녀 사이, 공감과 대화를 회복하는 소통의 지혜 (0) | 2025.07.21 |
교육의 탈을 쓴 정치 장사꾼들, 이들이 다시는 대한민국에 존재해서는 안 됩니다 (1) | 2025.07.21 |
- Total
- Today
- Yesterday
- 헌금
- 교육부장관
- 충남대
- 요나
- 이스라엘의멸망
- 미가
- 나훔
- 개명
- 안식일교인
- 기도습관
- 부활절
- 감사
- #김장하 #남성당한약방 #진정한어른 #문형배판사
- 재림교회
- 발람
- #부담부증여 #절세전략 #다가구주택세금 #다세대주택과세 #옥탑방세금 #부동산증여 #세무조언 #세금폭탄주의 #세테크 #세무상담추천
- 안식일교회
- #문형배 #김장하 #남성당한약방 #진정한어른
- #당신이옳다 #적정심리학 #공감의힘 #우울증극복 #감정수용 #충조평판no #진정한위로 #심리학에세이 #자기돌봄 #심리치유책추천
- 감사#100번감사#진정한감사#하나님께감사
- 설교ppt
- 신앙생활
- 정산교회
- 신앙인의자세
- 하나님의뜻
- 이진숙
- 하나님의사랑
- 좋은이름
- 미가서
- 니느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