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계도 작성의 유익과 작성 방법
1. 가계도 작성의 유익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관계 속에서 살아갑니다. 가족이라는 가장 밀접한 공동체 안에서 성장하며, 그 구성원들은 우리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는 가족을 통해 사랑을 배우고, 갈등을 겪으며 성숙하고, 때로는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가치를 물려받기도 합니다.
가계도는 단순한 그림이 아닙니다. 그것은 나와 내 가족의 삶의 궤적, 그리고 조상들의 발자취가 한눈에 담긴 소중한 기록입니다. 가계도를 이해하고 그리는 데 시간을 들이면, 우리는 그 안에서 가족 간의 관계를 더 깊이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신이 누구인지, 어떤 관계에서 영향을 받았고, 앞으로 어떤 관계를 선택하고 싶은지에 대해 성찰하게 됩니다. 건강한 삶의 선택은 이런 자기 이해에서 비롯됩니다.
처음 그 가계도를 보았을 때, 그것은 단순한 나무 그림처럼 보였습니다. 갈색 줄기와 초록색 잎, 마치 자연을 스케치한 평범한 그림 같았습니다. 하지만 가까이 다가가자, 그 나무는 말과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가지에는 사람들의 이름이 쓰여 있었고, 줄기에는 생년월일, 결혼, 직업, 삶의 전환점이 되는 사건들과 장소들이 다채로운 잉크로 정성껏 기록되어 있었습니다. 그것은 단지 그림이 아니라, 한 가족의 역사를 꿰뚫는 이야기였습니다.
가계도를 만드는 것은 단순히 정보를 나열하는 작업이 아니라, 가족을 다시 만나는 일입니다. 돌아가신 조부모님에 대해 부모님과 대화를 나누고, 잊고 지냈던 친척의 이름을 떠올리는 일은 자연스럽게 가족 간의 정서적 유대를 회복하게 합니다. 또한 나와 가족이 살아온 시간의 흔적을 돌아보며, 앞으로 어떤 관계를 맺고 싶은지 방향을 세울 수 있게 도와줍니다.
가계도는 결국 ‘나’로부터 시작됩니다. 나의 뿌리를 돌아보고, 그것을 통해 더 단단하고 건강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돕는 삶의 나침반인 셈입니다.
2. 가계도 작성 방법
1. 목적 정하기
가계도를 왜 작성하는지 명확히 하세요.
- 가족 관계 파악
- 조상 연구(족보)
- 심리적 통찰(예: 가족 치료, 하브루타 대화용)
- 유산, 질병 등의 유전적 경향 분석
2. 정보 수집하기
- 기본 정보: 이름, 생년월일, 사망일, 출생지, 결혼/이혼 여부
- 부가 정보: 직업, 종교, 성격 특성, 교육, 중요한 사건 등
- 가족 인터뷰를 통해 구술 자료도 확보하세요.
- 오래된 사진, 편지, 족보, 공문서 등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3. 범위 정하기
- 몇 세대까지 할 것인가? (보통 3세대: 조부모~손자녀)
- 양가 모두 할지, 한쪽만 할지?
- 부부 중심인지, 자녀 중심인지?
4. 기호와 형식 정하기
- □: 남성, ○: 여성
- = : 결혼, // : 이혼
- ─ : 형제/자매, |: 부모-자녀
- 같은 형식으로 표기하여 가독성 있게 합니다.
5. 도식 그리기
- 중앙에 ‘나’를 기준으로 세로 또는 가로형으로 나뉘어 그립니다.
- 일반적으로 조상은 위에, 자손은 아래로 내려갑니다.
- 손으로 직접 그리거나, 다음 도구를 활용해도 좋습니다.
6. 디지털 도구 활용
아래 무료/유료 도구를 활용하면 쉽고 보기 좋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 FamilyEcho
- Canva 가계도 템플릿
- Geni.com (족보 공유에 유리)
- Microsoft PowerPoint 또는 Excel도 가능
7. 정기적 업데이트와 공유
- 새로 태어난 아기, 결혼, 사망 등 변화가 있을 때 갱신하세요.
- 가족 모임 때 함께 보며 이야기 나누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8. 팁
- 감정적 거리나 갈등도 비공식적으로 표시하면 관계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 가족 구성원과 함께 작성하면 더 풍부한 이야기가 담깁니다.
- 하브루타 대화 주제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할아버지는 어떤 분이셨어?”, “이 이름을 왜 지었을까?”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장! 386세대와 베이비부머, 이제는 물러나야 할 시간입니다 (1) | 2025.07.09 |
---|---|
“윤석열 구속 취소는 민주주의 사망 선고다” (1) | 2025.07.09 |
진숙이는 절대 교육부 장관이 될 수 없다 (0) | 2025.07.09 |
다독으로 경매 전문가 되기 – 처음엔 어렵지만, 30권이면 달라집니다 (1) | 2025.07.09 |
[김장하 선생 삶의 기록 시리즈 2편] “나눔은 습관이네” – 1,000명을 살린 조용한 장학금 이야기 (0) | 2025.07.08 |
- Total
- Today
- Yesterday
- 감사#100번감사#진정한감사#하나님께감사
- 충남대
- 니느웨
- 신앙생활
- 미가
- 이스라엘의멸망
- ##결혼생활 #행복한부부 #사랑의표현 #결혼비결 #부부상담 #작은행동큰사랑
- 설교ppt
- 감사
- 교육부장관
- 좋은이름
- #김장하 #남성당한약방 #진정한어른 #문형배판사
- 나훔
- 재림교회
- 요나
- 안식일교회
- 발람
- 이진숙
- 하나님의사랑
- 개명
- #문형배 #김장하 #남성당한약방 #진정한어른
- 신앙인의자세
- 헌금
- #행복한결혼
- 부활절
- 하나님의뜻
- 미가서
- 기도습관
- 정산교회
- 안식일교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