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간의 완성은 음악
인간의 완성은 음악

인간의 완성은 음악에서 시작된다─ 고전이 말하는 삶과 조화의 지혜


음악은 단지 소리의 예술일까요?
고전은 우리에게 말합니다.

“음악은 인간의 마음을 완성시키는 가장 강력한 도구다.”


1. 음악, 인간의 내면을 다스리는 도구

고대에는 ‘예(禮)’와 ‘악(樂)’이 지식인의 정신세계를 구성하는 두 축이었습니다.
예는 사회 속 질서와 관계 형성에,
악은 자기 내면의 조화와 수양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예는 ‘밖’을 다스리고,

음악은 ‘안’을 정돈합니다.

음악은 단지 감상용이 아닌 삶을 수양하는 실천적 도구였습니다.
그래서 공자도 말했죠.

“시는 감정을 일으키고, 예는 바로 세우며, 음악은 완성시킨다.”
– 『논어』 <태백편>


2. 음악이 중요한 이유: 마음을 조화롭게 하는 힘

사람의 마음은 쉽게 흐트러지고,
‘놓친 마음(放心)’은 어느새 행동으로 드러나 사회적 불협화음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전은

음악을 통해 흐트러진 마음에 새로운 질서를 부여하라고 말합니다.

이것이 곧 수양의 시작이며,
개인의 내면을 정돈함으로써 조화로운 사회로 나아가는 길이기도 합니다.


3. 음악은 마음과 천지를 이어주는 다리

『예기(禮記)』 <악기> 편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음악이란 마음이 사물에 감응하면서 생긴다.”

소리(音)는 마음에서 일어나고,
음(音)이 질서를 이루면 비로소 ‘악(樂)’이 됩니다.

이는 단순한 사운드가 아닌,
자아와 세계가 만나는 경지,
즉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에서 탄생한 음악입니다.


4. 예와 악의 균형이 만들어내는 조화

  • 예(禮)는 질서를 만들고,
  • 악(樂)은 감정을 조화롭게 만듭니다.

그러나 이 둘은 따로 떨어진 것이 아닙니다.
진정한 조화는 예와 악이 함께 어우러질 때 완성됩니다.

“예가 조화로우면 그 자체가 음악이요,
음악이 절도에 맞으면 그것이 곧 예다.”

– 『예기』 <악기>

예만 강조하면 형식만 남고 진정성이 사라지고,
악만 강조하면 방종으로 흐르게 됩니다.
그러므로 삶 속에서 이 두 축의 적절한 긴장과 조화가 중요합니다.


5. 조화로운 사회는 어떻게 가능할까?

지금 우리 사회는
고립, 단절, 과잉 정보로 인한 내적 부조화로 가득합니다.

고전은 해답을 줍니다.

진정한 조화는 밖(질서)과 안(감정)의 균형,
사회와 개인의 화합,
그리고 음악처럼 흐르는 삶에서 온다고 말이죠.


6. 오늘의 우리에게 음악이란?

음악은 단지 소리의 나열이 아닙니다.
고전이 말하는 음악은 나의 감정과 세계의 리듬이 만나는 자리입니다.

내 안의 혼란을 가라앉히고,
타인과의 관계를 조화롭게 만들며,
마침내 자신과 천지가 하나 되는 상태,
그것이 고전이 말하는 진정한 인간의 완성입니다.


“예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길이라면,
음악은 마음과 마음 사이를 잇는 다리입니다.”

오늘 하루,
당신의 마음에 조화로운 음악이 흐르기를 바랍니다.